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신체 나이 측정하는 방법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6. 10:41

    신체나이는 달력 나이에 대비하여 실제 몸의 건강상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으로, 전반적인 건강 상태와 노화 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한 나이를 말합니다. 이와 비슷한 개념으로 생체나이, 생물학적 나이, 건강나이 등으로도 불리고 있는데요. 폐, 심폐, 뇌, 뼈, 근육 나이 등 각 장기별로 건강 나이를 따로 산출하기도 하고 중풍이나 심근경색, 만성 폐쇄성 폐질환, 유방암, 골절 등 각 질병이나 사고의 발생 가능성을 산출해 위험도를 나이로 만들어 보여주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신체나이와 실제 나이가 같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요? 우리나라 사람들을 대상으로 만든 프로그램이라는 전제 하에, 그분의 신체건강 정도가 우리나라 평균과 비슷하게 나온다는 의미입니다. 국가에서 시행하는 검진의 결과를 보면 거의 절반은 자기 나이보다 젊거나 같고, 나머지 절반은 더 많거나 같게 나오게 됩니다. 반대로 신체나이가 차이 난다는 것은 앞으로 10년간 심뇌혈관 질환이 발생할 확률에 차이가 있다는 겁니다.

     

    그렇다면, 신체나이 는 어떻게 측정하는 것일까요? 신체나이를 측정하는 가장 고전적인 방법은 신체의 기능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포스팅 상단의 도표는  2017 년 문화체육관광부가 실시한 국민체력 실태조사 중 서울에 거주하는 남자들의 결과입니다. 만약 내가 서울시에 거주하는 남성이라고 한다면 이 도표를 가지고 나의 신체 나이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내가 제자리멀리뛰기를 하였는데, 186cm를 뛰었다면 나의 신체나이는 52세가 되는 것입니다.

     

    또한 1분 안에 윗몸 일으키기를 35회 했다면 신체나이는 47세가 됩니다. 만약 둘 다 한 사람의 결과라면 아마도 전체 신체 나이는 50세 전후가 될 것입니다. 이처럼 윗몸 일으키기나 제자리멀리뛰기처럼 성인기 이후부터는 나이에 따라 비례적으로 떨어지는 지표들이 신체나이 평가에 제일 많이 사용됩니다. 뼈의 건강을 평가하는 골밀도, 각종 근육의 기능과 관절의 유연성, 콩팥과 폐의 기능 등이 대표적인 예입니다. 이 경우, 폐나이, 관절 나이 등을 따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최근 기능평가보다 더 많이 사용되고 있는 위험도 평가입니다. 기능평가가 주로 현재의 신체 상태를 알려주는 데 비해, 위험도 평가는 미래의 신체 나이를 예측해 주는 기능이 더 좋아서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는데요. 흡연을 하는 사람과 하지 않는 사람 사이에 폐기능의 저하 속도 차이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흡연자가 언제든지 금연을 하면 이때부터 폐기능 저하의 속도가 다시 느려지지만, 그 차이를 완전히 극복하기는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45세경이 중요한 나이인 것을 알 수 있는데, 45세 전에 끊은 사람은 평생 폐기능 저하로 고생하지 않을 수 있지만, 60세가 넘어서 금연을 하게 되면 나이가 들어서는 폐기능 저하로 장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알 수 있습니다. 위험도 평가는 흡연처럼 앞으로의 신체 기능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세 번째, 질병 평가인데요. 고혈압, 당뇨, 콜레스테롤의 이상인 이상지질혈증, 통풍 등의 질병은 나이가 듦에 따라 발병 확률이 증가하지만 그 정도가 직선적이지 않고 어느 정도의 기준점을 넘게 되면 그 위험성이 급격히 커져서 질병이 되는 것입니다. 질병이 발생하더라도 약물이나 여러 방법으로 조절을 잘하게 되면 신체나이가 다시 젊어질 수 있는 것들입니다. 질병의 발생 유무가 중요하고, 질병이 있을 경우는 약물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병원의 검진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평가 항목인데요. 질병이 많아지는 중년기가 넘어가게 되면 이 평가의 중요성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지게 됩니다.

     

    5년이 지난 중고차의 상태가 얼마나 많은 거리를 달렸는지, 비포장도로는 얼마나 달렸는지, 사고는 얼마나 났었는지, 원래 얼마나 좋은 품질이었는지 등에 따라 다르듯이, 신체나이는 신체나이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소들에 따라 차이가 나게 됩니다. 100세 시대, 신체나이를 낮추고 더 건강해지기 위해 꾸준한 건강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