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천년왕국 신라의 신화 이야기
    카테고리 없음 2021. 12. 22. 00:17

    오늘은 천년왕국 신라의 신화 이야기를

    들려 드리려고 합니다.

    신라 신화는 고조선이나 고구려와

    다른 특징이 있습니다.

    계보가 다른 몇 개의 신화가 공존하지요.

    시조인 박혁거세 신화 말고도 석탈해 신화가 있고,

    경주김씨 시조 김알지 신화도 전해옵니다.

    이들이 서로 어울려서

    신라 건국신화를 이루고 있지요.

    신라는 고구려나 백제와 달리

    박씨와 석씨, 김씨 등으로

    왕위 계승 집단이 바뀝니다.

    왕권 못지 않게 신하의 권한이 컸던 나라가 신라였지요.

    그럼에도 신라는 천년간 단일 왕국을 이어갑니다.

    고려나 조선보다 훨씬 오래 유지된 장수 국가가 신라입니다.

    저는 그 힘의 원천을 건국신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사진출처 코리아히스토리타임즈

     

    먼 옛날 한반도 동남쪽 진한땅 지역에는

    사량부와 모량부 등 여섯 고을이 있었습니다.

    어느 봄날 고을의 지도자들이

    알천 언덕에 모여서 앞날을 의논했지요.

    “임금이 없어서 백성이 불안해 합니다.

    덕 있는 이를 왕으로 모시고 나라를 이루어야 해요.”

    그때 남쪽 산 아래 ‘나정(蘿井)’이라는 우물에

    이상한 기운이 감돌았습니다.

    하늘로부터 번개와 같은 기운이 뻗쳐 있고,

    하얀 말 한 마리가 절을 하고 있었지요.

    사람들이 가서 살펴보니

    커다란 자주색 알이 있었습니다.

    그 알에서 사내아이가 나왔는데

    온몸에서 광채가 났지요.

    “하늘이 우리에게 임금을 내리셨습니다!”

    사람들은 그한테 ‘혁거세(赫居世)’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습니다.

    세상을 밝게 빛낼 사람이라는 뜻이었지요.

    같은 날에 알영정이라는 우물에서도

    신기한 일이 있었습니다.

    닭머리 모양을 한 용이 나와서

    옆구리로 여자아이를 낳았지요.

    사람들은 우물 이름을 따서

    아이를 ‘알영(閼英)’이라고 불렀습니다.

    사람들은 혁거세와 알영을 궁실에서

    고이 키웠습니다.

    열세 살이 되자 둘을 왕과 왕비로 모셔서

    나라를 이루었지요.

    신라(新羅)의 시작입니다.

    혁거세 왕은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 만에 하늘로 올라갔는데

    얼마 뒤 몸뚱이가 여러 곳으로 흩어져서

    떨어졌다고 해요.

    사람들은 그 몸을 따로 묻어서

    다섯 개의 무덤을 이루었지요.

    그것이 ‘오릉(五陵)’입니다.

    경주에 가면 볼 수 있지요.

     

    주몽을 주인공으로 한 고구려 건국신화는

    시련과 투쟁의 신화라고 할 만합니다.

    그런데 혁거세 신화는 이와 다릅니다.

    사람들이 서로 협의해서

    왕과 왕비를 옹립하지요.

    그 과정이 분란 없이 순탄합니다.

    ‘합의와 추대의 신화’라고 할 수 있지요.

    화백 제도로 이어지는 집단적 합의의 전통이

    신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해도 좋을 것입니다.

    또 하나 주목할 것은

    ‘수평적 연합’의 면모입니다.

    같은 날 태어난 혁거세와 알영이

    나란히 왕과 왕비가 되어

    나라를 다스렸다는 데서

    이를 볼 수 있습니다.

    해모수와 유화 사이에서 태어난 주몽이

    왕이 된 것과 다른 구조지요.

    혁거세와 알영이 집단의 상징이라고 할 때,

    둘은 하나로 합쳐졌다기보다

    자기 정체성을 유지한 상태로

    연합한 쪽에 가깝습니다.

    신라에는 여섯 고을, 곧 ‘6부(六部)’의 연합이

    오래 지속되었다고 하지요.

    건국 신화 속에서 연합체 국가의

    뿌리를 볼 수 있는 점이 인상적입니다.

    덧붙이자면, 혁거세의 무덤이

    하나가 아닌 다섯 개로 만들어졌다는 것도

    신령한 힘이 여러 곳으로 배분됐음을

    상징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신라의 네번째 왕은 혁거세의 자손이 아닙니다.

    멀리 바다 건너에서 온 석탈해가 그 주인공이지요.

    석탈해도 혁거세처럼 알에서

    태어났다고 합니다.

    그런데 탈해는 태양이 아닌

    용의 자손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가 바다에서 왔고,

    붉은용이 배를 호위했다는 데서

    이렇게 해석할 수 있지요.

    그가 살던 나라가 ‘용성국(龍城國)’이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합니다.

    탈해는 가야를 거쳐 신라로 들어온 뒤

    남다른 지혜로 이름을 떨쳤습니다.

    그러자 남해왕이 탈해를 사위로 삼았지요.

    남해왕이 아들인 유리 대신

    탈해한테 왕위를 물려주려 하자

    탈해가 이렇게 말합니다.

    “지혜로운 이는 이빨이 많다고 했습니다.

    그것으로 시험하는 게 좋겠습니다.”

    유리와 탈해가 떡을 깨물어 보니

    유리의 이빨이 더 많았습니다.

    그래서 유리가 세번째 왕이 되었지요.

    석탈해는 유리왕이 죽은 뒤

    네번째 왕으로 즉위합니다.

    어떻습니까?

    지혜라는 능력을 최우선 순위로 평가해서

    능력자에게 왕위를 물려주려는 것.

    합의된 기준에 따라서

    왕을 정하는 모습은

    무조건 제 자식한테 왕위를

    물려주는 것과는 다르지요.

     

    신라에서 권력을 양보해서 넘기는 역사는

    그 뒤로도 이어집니다.

    탈해왕이 사위로 삼은 인물은

    바로 김알지였습니다.

    하늘에서 내려온 황금 궤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진

    신화적 인물이지요.

    탈해는 김알지한테 왕위를 물려주려 했지만,

    김알지는 이를 사양합니다.

    경주김씨가 왕위에 오른 것은

    그의 7대손인 미추왕에 이르러서였지요.

    신라 역사를 보면 중요한 시기에

    능력자가 대업을 맡은 사례가 많습니다.

    외교 능력자인 김춘추가

    무열왕이 된 것이 그러하고,

    가야국 왕실 후손인 김유신이

    대장군으로 나라를 이끈 것도 그러합니다.

    능력을 갖춘 이를

    그 능력에 맞는 자리에 올리는 것,

    이것이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루고

    왕국을 길게 보존한 바탕이 아니었을까요?

    감사합니다.

    댓글

Designed by Tistory.